음의 기초지식
음이 들리는 이유
음원으로 부터 나온 소리가 공기를 진동시켜서 귀의 고막에 전달된다.
압축과 팽창을 반복해서 진동을 시킨다. 결과적으로 소리는 진동이라고 할 수 있다.
소리는 매개체가 있어야만 전달될 수 있다.
음속
공기중에서의 음의속도는 331.5 + 0.6 * t (m/s)의 공식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t는 온도를 의미힌다.
이러한 것을 볼때 소리의 속도는 느린편으로 볼수있는데 그 결과로 인해서 에코 현상이 등장하게 된다.
음악의 3대요소 리듬, 멜로디, 하모니가 있는데 이런 것처럼 음의 3대요소도 존재한다.
음의 3대요소는 음정, 음량, 음색이다.
1. 음정
음의 높고 낮음을 의미하며 주파수(Hz)로 표현된다.
음악에서는 12음계(도레미파솔라시도)를 통해서 표현된다.
Sin그래프(밀도 - 시간 그래프)를 통해서 표현할 수 있으며 한 Sin그래프의 주기를 1Cycle이라고 하며 1Cycle의 거리를 파장(음속 * 주기)이라고 한다.
그래프에서 최고값은 최대 압축이고 최소 값은 최대 팽창이다. 이 둘의 차이를 진폭이라 표현한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최대 최소 범위의 주파수를 가청주파수라고 하느느데 20Hz ~ 20KHz 값을 가진다.
음정을 도레미파솔라시도 12음계로 표현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을 통해서 옥타브를 표현할 수 있다.
기준이 되는 옥타브는 440Hz ( A key )이다.
주파수가 2배가 되면 1옥타브가 올라간다. ( 880Hz 'A' )
2. 음량
음의 크고 적음 즉, 소리의 크기 Volume을 의미한다.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이 정의되어 있다. ( 기준 음압에 비례하는 레벨을 dB단위로 표시한 것 )
0 ~ 140dB 인간이 들을 수 있는 dB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 음량의 크기를 알아보면 10dB에서 20dB가 되는 것은 음량이 2배가 되는 것이 아니라 10배가 되는 것이다.
이런 음량 때문에 우리는 Live 콘서트와 CD 음원에서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왜냐하면 CD에 담을 수 있는 음량의 크기는 30dB이기 때문이다. 즉, 음량의 변화 자체가 압축된다는 것이다.
(녹음을 80dB로 했으면 그 최대치를 30dB에 맞추도록 압축시킨다는 의미이다.)
라우드니스 레벨
1KHz의 어느 레벨과 같은 크기로 들리는 레벨
인간의 귀가 가장 잘잡는 부분이다. (인간의 목소리 주파수를 의미한다.)
1KHz ~ 5KHz
엔벨로프 커브
시간에 따른 음량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다.
Attack 음의 처음 시작부터 가장 높은 곳 까지 올라가는 구간
Decay 음이 유지되는 부분까지 내려오는 구간
Sustain 음이 유지되는 구간
Release 음이 줄어들어 사라지는 부분
3. 음색
소리의 색깔
기본음 + 배음
배음의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
배음의 발생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기타, 피아노 등의 소리가 모두 다르다.
음향심리
인간의 귀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의미한다.
1. 마스킹 효과
방해음이 커지면 원음이 잘 안들리게 되는 현상이다.
콘서트장에서 옆에있는 친구와 이야기할때 잘 안들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방해음이 커질수록 마스킹의 양이 증가된다.
저음은 고음을 마스킹하기 쉬우나 고음은 저음을 마스킹하기 어렵다.
이 부분은 콘서트장을 들어가기전 문앞에서 노래소리는 안들리고 드럼의 쿵쿵 대는 소리만 들리는 것을 떠올리면 된다.
주파수가 비슷하면 마스킹효과가 극대화된다.
2. 칵테일 파티 효과
듣고 싶은 소리를 선택해서 들을 수 있는 효과
3. 하스효과
먼저들어온 소리가 더 크게 들리는 효과
이러한 귀의 특성 때문에 레프트와 라이트를 순차적으로 주는 노래가 있다면 뒤에 들어오는 소리를 키우는것이 좋다.
음장
음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1.반사, 흡음, 투과
음은 이 3개의 에너지로 분해된다.
방음은 투과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2.회절과 굴절
장애물이 있거나 온도차로 인해서 소리가 꺾이는 현상
공기가 따듯한 곳에서 차가운 곳으로 굴절이 된다.
3.엠비언스
각각의 공간이 지닌 음향적 특성
'Study > Sou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밖의 이펙터 (0) | 2019.01.03 |
---|---|
신호의 시간을 이용한 이펙터 (0) | 2019.01.03 |
신호의 음량을 이용한 이펙터 (0) | 2019.01.03 |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한 이펙터 (0) | 2019.01.03 |
DAW (0) | 2019.01.03 |